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0

CPU와 메모리 - 1 컴퓨터의 종류는 슈퍼컴퓨터, 서버,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핸드폰, 스마트 워치 등이 있습니다. 출처 : https://hongong.hanbit.co.kr/컴퓨터의-4가지-핵심-부품cpu-메모리-보조기억장/ [컴퓨터 구조]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를 알아보자 컴퓨터의 핵심 부품은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입니다. 이 네 가지 부품의 역할만 이해하고 있어도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대부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기억장치에는 크게 RAM과 RO hongong.hanbit.co.kr 1.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란 컴퓨터가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는 창구가 입출력 장치 입니다. 1-1 입력 장치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창구입니다. 1-2 입력 장치의 종류 키보드, 마우스,.. 2023. 8. 18.
TIL-31 taskrail 프로젝트 진행 중 알게된 것 08/11 1. 댓글 등록 기능을 구현중에 bodyContent안의 데이터가 계속 null로 잡히는 문제가 있었다. 원인은 formData안의 body였다. 백엔드 쪽의 requestDto에는 필드명이 content였기 때문에 이를 맞춰주어야 했다. content로 바꿔주니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었다. 2. textarea태그의 값을 가져올 때 textarea.textContent가 아닌 textarea.value이다. input태그인경우 textContent로 가져오는 데 차이점이 있었다. 3. 작업자 할당하기 기능을 만드는 도중 발생한 에러 팝업창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제약사항이 많았다。 팝업창 스코프와 브라우저 스코프가 달라 함수사용이 안됐던 것 기존 requestData 호출 수정 후 이후에 함수 .. 2023. 8. 11.
스파르타 코딩클럽 미니 프로젝트 - 8 트렐로 만들기 08/07~ 08/14 중간 보고 https://www.notion.so/4-3d0f995f04804baeab9a66b40ca5dd31 4조 우리 팀원 www.notion.so 트렐로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툴이다. board에 마치 포스트잇을 붙여놓은 것처럼 일정 및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다. 트렐로는 board -> column -> card로 이루어져있다 현재까지 구현한 내용 카드관리 - 카드의 컬럼 별 조회, 수정, 삭제, 작성 컬럼이동, 상하순서 이동 상세 조회 작업자 할당 댓글 관리 - 댓글 조회, 수정, 삭제, 작성 댓글 JPA연관관계 맵핑 2023. 8. 9.
TIL-30 스웨거란 무엇인가? Swagger란? 개발자가 REST 웹 서비스를 설계, 빌드, 문서화, 소비하는 일을 도와주는 대형 도구 생태계의 지원을 받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웨거 UI 도구를 통해 스웨거를 식별하며 수웨거 툴 셋에는 자동화된 문서화, 코드 생성, 테스트 케이스 생성 지원이 포함된다. →Swagger에는 문서화 뿐만 아니라 설계, 빌드를 도와주는 기능이 포함되어있다. 기능 : API 디자인, API 빌드, API 문서화, API 테스팅, API 표준화 파라미터 변겅이나 주소 변경되어 싱크가 맞지 않더라도 변경된 소스를 그대로 문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기능을 한다. Swagger와 Postman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프레임워크인가? 메이비 예스 팀플에서 얘기를 나누던 중 Pos.. 2023. 8. 1.
TIL-29 Redis 란 무엇인가 - Redis (InMemory Data Structure Store)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는 메모리 기반의 “Key-Value” 구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며,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조회하기에 빠른 Read, Write 속도를 보장하는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는 Disk에만 저장되어 입출력 속도가 느린 반면 Redis는 데이터를 RAM(캐시 메모리)에도 데이터를 저장하여 다른 DBMS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RAM의 물리적인 저장공간보다 큰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다. - Redis의 특징 빠른 처리 속도 (앞서 언급했듯이 입출력 속도가 느린 Disk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 데이터가 메모리와 Disk에 저장된다. (프로.. 2023. 7. 28.
TIL-28 Refresh Token, Access Token 의 차이점과 사용 이유 JWT(JSON Web Token) : 유저를 인증하고 식별하기 위한 토큰이다. 토큰은 세션과는 달리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에 저장된다. Access Token & Refresh Token Refresh Token은 Access Token과 똑같은 형태의 JWT이다. Refresh Token은 긴 유효기간을 가지면서, Access Token이 만료됐을 때 새로 발급해주는 열쇠가 된다. 예시) Refresh Token의 유효기간은 2주, Access Token의 유효기간은 1시간이라 하겠습니다. 사용자는 API 요청을 신나게 하다가 1시간이 지나게 되면, 가지고 있는 Access Token은 만료됩니다. 그러면 Refresh Token의 유효기간 전까지는 Access Token을 새롭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 2023.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