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ebSecurity
- Session1이 그 모든 클라이언트의 저올
- 스프링 #스프링 시큐리티 #spring security
- Spring Security
- HttpSecurity
- ㅇㅇㅇㄴㅇ
- ㅂ
- WebConfigurerAdapter
- 스프링시큐리티
- securityconfig
- Today
- Total
다오의 개발일지
TIL-7 빈 스코프 프로토타입-1 본문
지금까지 우리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고 배웠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좋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 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이지만 관여하고 있는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Application : 웹의 서블릿 컨텍스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싱글톤 스코프를 사용했다
프로토타입 스코프
싱글톤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했다. 반면에 프로토타입 스포크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우선 싱글톤을 테스트 해보자
테스트 결과 싱글톤 1, 2는 모두 같은 객체를 의미한다.
프로토타입을 테스트 해보자
위의 테스트코드와 비교해서 싱글톤과의 차이를 확인 해 본다.
ac.getBean(ProtoType.class);를 호출했을 때 init함수가 호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소 참조 값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로토타입 빈의 특징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 할 때 마다 새로 생성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 까지만 관여한다.
종료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프로토타입 빈은 프로토타입 빈을 조회한 클라이언트가 관리해야 한다. 종료 메서드에 대한 호출도 클라이언트가 직접 해야한다.
prototypeBean1.destroy() 처럼 직접 호출해주어야 한다.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을 요청하면 항상 새로운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하지만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할 때는 의도한 대로 잘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한다. 그림과 코드로 설명하겠다.
먼저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직접 요청하는 예제를 보자
프로토 타입 빈 직접 요청
싱글톤 빈에서 프로토타입 빈 사용
이번에는 'clientBean'이라는 싱글톤 빈이 의존관계 주입을 통해서 프로토타입 빈을 주입받아서 사용하는 예를 보자.
직접 테스트 해보자.
싱글톤인 ClientBean을 생성하고 logic메서드를 정의하자
이렇게 싱글톤 안에 있는 프로토타입은 생성 시점에만 주입. 카운트 수만 올라가고 새로 생성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의 의도는 이게 아니라 이 로직을 호출 할 때마다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생성받고 싶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할까?
Logic 메서드 안에 ac.getBean(PrototypeBean.class); 하여 호출을 해보자.
이렇게 수정
이렇게 하면 일단 프로토타입이 두개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편에서 계속!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10 빈 스코프와 Provider (0) | 2023.05.23 |
---|---|
TIL-8 빈 스코프 프로토타입-2 (0) | 2023.05.22 |
TIL-6 빈 생명주기 콜백 (1) | 2023.05.18 |
TIL-5 @Autowired @Qualifier @Primary, 어노테이션 생성, 조회한 Bean을 모두 사용하고 싶을 경우 (0) | 2023.05.18 |
TIL-4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방법, 생성자 주입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