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HttpSecurity
- Session1이 그 모든 클라이언트의 저올
- ㅂ
- WebConfigurerAdapter
- securityconfig
- 스프링 #스프링 시큐리티 #spring security
- WebSecurity
- ㅇㅇㅇㄴㅇ
- 스프링시큐리티
- Spring Security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ㅇㅇㅇㄴㅇ (1)
다오의 개발일지

JWT(Json Web Token)란 JSON포멧을 이용하여 사용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이다 즉 토큰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쿠키 저장소를 사용하여 JWT를 저장한다. 왜 JWT를 사용할까? 서버가 1대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한다고 했을 때 세션1이 그 모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소유하고 있다 서버가 1대인 경우 어떤 클라이언트간에 세션1이 구분을 할 수있다. 하지만 서버가 2대 이상인 경우 서버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위해 서버2대 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럴경우 로드 밸런서로 인해 세션마다 다른 로그인 정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로드 밸런서 : 클라이언트와 서버 중간에서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을 밸런스 있게 나눠주는 중간 관리자 ..
CS
2023. 6. 19. 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