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10

운영체제란 - 유튜브 강민철 강사님 시스템자원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 마땅히 필요한 요소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또한 자원이다.운영체제자원을 관리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실행 중인 프로그램(프로세스)을 관리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운영체제 또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다.특별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있는데, 이를 커널 영역이라고 한다. 운영체제는 커널영역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영역에 있는 응용프로그램들을 관리한다. 운영체제는 자원(메모리) 관리의 역할을 한다.메모리의 어느 번지 주소에 이 프로그램을 적재시킬지 지울지 생명주기를 결정한다. (추가로 응용프로그램이 물리적 메모리 크기보다 크더라도 운영체제에서 페이징, 스와핑 등의 기술을 통해 실행 될 수 있게 한다.) 메모리에는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어있다. 그러.. 2025. 2. 13.
컴퓨터 구조란 - 유튜브 강민철 강사님 컴퓨터 구조를 알게 되면,컴퓨터의 근간을 이해할 수 있다. 만약 컴퓨터 구조를 모르고,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만을 알고 있는 개발자라면, 같은 코드라도 동작하지 않는 다른 환경에 대응할 수 없다. 컴퓨터 소스가 가장 밑 단부터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게 되고, 컴퓨터를 미지의 대상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관점을 바꿀 수 있다. 컴퓨터를 관조하며 다양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어야 한다. 컴퓨터 구조는 결국 성능, 용량, 비용에 대한 이야기이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명령어 : 명령을 처리하는 기계, 컴퓨터를 움직이는 정보, 데이터는 명령어의 재료이다.데이터 : 텍스트, 동영상, 그림 등의 정적인 정보 1 과 2 를 더하라(데이터와 명령어)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 >컴파일> 명령어로 치환 ( 01.. 2025. 2. 13.
CPU와 메모리 - 2 3. 메모리 위로 갈수록 비용 증가, 속도 증가, 용량 감소 레지스터 = CPU 캐시메모리(SRAM), 메인 메모리(DRAM) = 주 기억장치 하드디스크(HDD) = 보조 기억장치 3-1. 캐시 메모리 (L2,L3) 캐시메모리 = 컴퓨터 시스템 향상을 위해서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있는 아주 작은 비싼 메모리 입니다. L2, L3 캐시메모리는 메인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불러와 놓고,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캐시에서 먼저 찾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켜줍니다. (레지스터와 비슷하지만 다름) L2,L3 캐시메모리 vs CPU 레지스터 L2, L3 캐시메모리는 CPU와 별도의 공간이며, 메인 메모리와 CPU 간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CPU 레지스터는 CPU안에서 연산을.. 2023. 8. 21.
CPU와 메모리 - 1 컴퓨터의 종류는 슈퍼컴퓨터, 서버,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핸드폰, 스마트 워치 등이 있습니다. 출처 : https://hongong.hanbit.co.kr/컴퓨터의-4가지-핵심-부품cpu-메모리-보조기억장/ [컴퓨터 구조]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를 알아보자 컴퓨터의 핵심 부품은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입니다. 이 네 가지 부품의 역할만 이해하고 있어도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대부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기억장치에는 크게 RAM과 RO hongong.hanbit.co.kr 1.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란 컴퓨터가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는 창구가 입출력 장치 입니다. 1-1 입력 장치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창구입니다. 1-2 입력 장치의 종류 키보드, 마우스,.. 2023. 8. 18.
JWT란 무엇일까? JWT(Json Web Token)란 JSON포멧을 이용하여 사용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이다 즉 토큰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쿠키 저장소를 사용하여 JWT를 저장한다. 왜 JWT를 사용할까? 서버가 1대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한다고 했을 때 세션1이 그 모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소유하고 있다 서버가 1대인 경우 어떤 클라이언트간에 세션1이 구분을 할 수있다. 하지만 서버가 2대 이상인 경우 서버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위해 서버2대 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럴경우 로드 밸런서로 인해 세션마다 다른 로그인 정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로드 밸런서 : 클라이언트와 서버 중간에서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을 밸런스 있게 나눠주는 중간 관리자 .. 2023. 6. 19.
쿠키와 세션이 무엇일까?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비연결성 HTTP프로토콜로 되어있다. 그리고 무상태(Stateless)이다. 하지만 우리는 상태정보가 유지(Stateful)되어있는것 처럼 느낀다 여기에는 쿠키 세션 또는 JWT가 있다. 쿠기와 세션 모두 HTTP에 상태 정보를 유지(Stateful)하기 위해 사용된다. 쿠키와 세션을 통해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 별로 인증 및 인가를 할 수 있게 된다 1. 쿠키 클라이언트에 저장될 목적으로 생성한 작은 정보를 담은 파일 크롬 브라우저 기준으로 개발자도구 -> Application -Storage - Cookies에 도메인 별로 저장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세션 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클라이언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별로 유일무이한 '세션 ID'를 .. 2023. 6. 19.